하나 보다는 둘 둘보단 셋
본문 바로가기
무엇이 지구를 병들게 하나요

생태계를 뒤흔들고 어지럽히는 건 누구? 생태계 교란

by 나의 반 쪼기와 함께 2022. 11. 30.

외국에서 서식하던 동식물들이  토종 생물들을 밀어내고 우리나라의 생태계에 퍼져 나가고 있습니다. 2010년에 열린 제10차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목표 중 하나로 생태계를 교란하는 ' 침입 외래종

제거 '를 선정하기도 하였는데 우리의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는 생태계 교란 생물 그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생태계 교란이란?

생태계 교란 야생 생물이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된 종이나 국내에 들어와서 유전자 변형 생물체

중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 동식물들을 의미합니다. 번식력이 강한 외래종이 자연 생태계에 유입되면 토종 서식지가 잠식되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종의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정부는 법으로 이러한 생물들을 ' 생태계 교란종 '으로 규정하고 관련 기구를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생태계교란 생물

▣우리나라 생태계 교란 생물 23종

우리나라의 생태계 교란 생물은 총 23종으로  동물은 8종 식물은 15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될 경우 학술연구 등 제한적 목적 외에 수입·반입·사육·재배·방사·이식·양도·양수·보관·운반 또는 유통 등이 금지되는데 이를 위반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지거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생태교란 생물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생태계 교란 생물(동물) 붉은 귀 거북, 꽃매미, 리버쿠터, 플로리다 붉은 배 거북, 중국 줄무늬 거북

2001년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붉은 귀 거북은 애완용으로 키우던 사람들이 인근 하천에 방생하면서 확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붉은 귀 거북은 야생에서 붕어, 미꾸라지 등을 잡아먹고 우리나라 토종 거북이인 남생이의 서식지를 뺏는 등 생물의 다양성을 해치고 있는 생물로 최근까지도 낙동강변에서  빠르게 번식하면서 우리나라의 토종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꽃매미는 과시나 농작물에 기생하여 수액을 빨아먹는데 그로 인해 나무가 말라죽거나 꽃매미의 분비물로 인해 농작물에 질병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또한 봄, 여름철 꽃매미들이 도심 아파트 주변 , 주택가에까지 날아와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 또는 생태계 위해 우려 생물을 방출, 방생, 유기 또는 이식한 자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5조 제5호)

②생태계 교란 생물(식물) 서양금혼초,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 가시상추, 도깨비가지

2009년에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서양금혼초는 민들레를 많이 닮은 것이 특징으로 수입 목초 종자에 섞여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보기에는 예쁜 꽃이지만 한번 뿌리를 내리면 주변 다른 식물들이 정착할 수 없도록 지면을 완전히 덮어버립니다. 또한 번식력이 좋고 뿌리도 깊게 내리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식물입니다. 국화과에 속하는 미국쑥부쟁이는 줄기가 원뿔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가는 털이 촘촘히 나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줄기가 30~100mm까지

자라는 미국쑥부쟁이는 들이나 산기슭에 많이 자라며 건조한 사질 토양이나 하천 고수부지나 공지에서도 잘 자란다고 합니다. 하천변과 도로변에 띠를 두르며 대규모로 분포되어 있는 생태 특징이 있습니다. 30,000~40,000 정도의 종자를 생산하는 미국쑥부쟁이는 많은 수의 종자로 확산범위가 넓어 가지를 쳐서 키가 작은 하층 식물들에게 배제 작용을 크게 하여 하천 식생을 단순화시키고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쑥부쟁이

▣생태계 교란 생물, 이게 끝이 아니다?

우리가 오늘 알아본 생태계 교란 생물들 말고도 새로운 생태계 교란 생물들이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가재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하천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가재는 유럽에서 100대 악성 외래종으로 지정될 만큼 환경에 유해한 생물입니다. 우리나라에는 2018년 나주 영산강 지석천에서 처음으로 발견

이후 이듬해 10월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악성 외래종입니다. 미국 가재는 새우, 곤충, 수중식물 등을 마구잡이로 잡아먹는 잡식성으로 실제 스페인, 이탈리아 습지 등에서 미국 가재로 인해 수중식물이 감소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천 및 수로에 구멍을 뚫어 어업에 문제를 일으키고 굴을 파서 침전물을 일으켜 수질 변화에 영향을 주고 비브리오 미미 쿠스, 콜레라 등의 질병을 전파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미국 가재를 ' 생태계 위해성 평가 1등급 '으로 평가했으며 생태계 교란 생물에 갑각류가 추가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토착 생물이 외국의 생태계를 교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0년대 초 관상용으로 미국에 수출된 가물치는 호숫가에 풀어지면서 미국 생태계를 장악하여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칡도 강한 생명력으로 미국의 숲을 점령

하고 있습니다. 생태계에서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던 생물이라도 서식지가 변하게 되면 생태계 교란 생물이 있다고 합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은 바람이나 물의 흐름 등 자연스러운 현상에 의해 유입되기도 하지만 식용, 애완용 등으로 들여오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외래생물을 들여올 때는 우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미리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특히 애완용으로 기르다가 야생에 방생하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합니다. 생태계 교란생물의 위험성을 꼭 기억하고 우리 생태계가 균형을 잡아갈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하여야 할 것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