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보다는 둘 둘보단 셋
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정보15

아파트 관리비 할인되는 신용카드 추천 TOP4 2025년 아파트 관리비 할인 적용되는 신용카드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모든 가정에서 고정 지출 비용 중 한 가지인 관리비! 매달 납부해야 해야하는 금액이 만만치 않은데 오늘은 이런 관리비를 아낄수 있는 팁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최대10%까지 관리비를 아낄수 있는 방법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현대카드 Z family E dition 2(연회비 국내외 2만원) 생활요금 정기결제 10%청구할인이 되는 카드로 이동통신요금,아파트 관리비,도시가스요금이 할인적용이 되며 전월실적 50만원이상이면 월6천원 할인, 100만원 이상시 월 1만원이 할인 적용이 됩니다.가족소비영역인 온라인쇼핑몰(네이버쇼핑,쿠팡,G마켓,옥션,11번가,SSG,컬리), 병원·약국 , 아이들학원,주유소, 등에서도 10% 청구할인 적용을 받.. 2025. 4. 15.
7월부터 영화비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 ※ 문화비·전통시장·대중교통 사용분을 모두 합해 최대 300만 원 소득공제 혜택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7월1일부터 영화를 보기 위해 사용한 신용카드 등에 사용한 금액에 대한 문화비 소득공제가 시행된다고 합니다. 문화비 소득공제가 시행된 2018년 7월~ , 도서·공연비 18년 7월~ ,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2019년7월~ , 신문구독료 21년 1월~ 에 이어 이번 영화관람료까지 확대되어 국민들의 문화 향유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 2023년 7월 1일 사용분부터 적용 .... 팝콘등 식음료 · 기념품 구매 비용은 제외 영화관람료 소득공제는 기존 문화비 소득공제와 같이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중 신용카드 사용액이 총급여액의 25%가 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공제율은 30%이고 공제 한도.. 2023. 7. 11.
의료비 지출 카드로 할인 받고 포인트 적립까지? 각 가정의 가계 지출 비용중 가장 많이 지출되는 것이 아이들의 교육비와 의료비가 아닐까 합니다. 특히 병원 의료비 경우 보험이 되지 않아 비용이 더 많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런 의료비 비용을 조금이나마 할인 받을 수 있는 카드가 있다고 합니다. 적게는 1%~20%까지 다양하게 할인, 적립까지 되는 의료비 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의료비 혜택 강조한 카드 살펴보기 ▶ 삼성 iD VITA 카드 연 최대 66만원 할인! 병원비·보험· 건강 특화 할인카드 ● 병원/약국/헬스/뷰티20% 할인, 보험/마트/통신 10% 할인 ● 해외 무제한 1% 할인 ● 신청하기 병원비· 보험료 등 의료비용에 대한 지출 금액이 많은 사람이라면 이번에 출시된카드를 사용하여 보는 건 어떨까요. 는 병.. 2023. 6. 20.
전기 요금이 오르면 수익률도 따라 오르는 투자 상품은? 일반은행의 적금금리가 다시 내려가고 있는 가운데 매월 최고 연 15%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재생에너지가 재테크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이 상품은 탄소중립도 실천하면서 지구의 건강까지 생각하는 재생에너지로 전기요금이 오르면 그 수익률 또한 따라 오른다고 하니 오늘 알려드리는 제대크 상품을 자세히 읽어보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모햇이란? 모햇은 친환경 재생에너지 투자 플랫폼입니다. 모햇을 통해 참여한 조합원들의 투자금을 통해 비어 있는 옥상 등에 패널을 설치 소규모 발전소를 짓고 전기를 생산하여 한국전력과 그 자회사에 판매하여 최종적으로 수익이 만들어지면 다시 조합원들에게 이익금을 되돌려 주는 방식입니다. 모햇은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것을 첫째 원칙으로 하며 이미 지어진 건물에 발전소를.. 2023. 6. 13.
서울 청년 수당 2차 모집신청 및 자격 조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미취업 청년 7,000명이 시의 지원금을 추가로 받게 되었습니다. 상반기 청년수당 신청을 놓친 청년들이라면 1인당 300만 원을 지급하는 ' 청년수당 ' 2차 모집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매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간 총 300만 원의 활동 지원금을 지급하는 이번 청년수당을 절대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1. 2023년 서울 청년수당(2차 모집) ▣ 지원대상 만19 ~34세 서울시 거주(최종학력 졸업 후 미취업자) ※ 대학(원)재학생 및 휴학생 신청 불가 ※ 단기근로자는 지원대상 포함(주 30시간 또는 3개월 이하로 계약된 근로자) ▣ 접수기간 2023.06.12.(월) 10:00 ~ 6.14(수) 16:00 ▣ 지원금액 ● 금전적 지원 매월 50만원 x 최대 6개월 (총 300.. 2023. 6.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