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보다는 둘 둘보단 셋
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관련 정보 알아보기

타이어 공기압 낮출까?말까?( 겨울철 안전상식 알아보기)

by 나의 반 쪼기와 함께 2023. 1. 27.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철엔 다른 계절에 비해 특히 운전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계절입니다.

추운 날씨로 인하여 차량관리 및 운행에 신경 써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특히 눈이라도 내려 도로가 빙판으로 변해 버린다면  매 순간이 긴장에 연속일 겁니다 오늘은

겨울에 조심해야 할 위험 상황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런 상황들을  기억하고 미리 사전에

예방한다면 안전운전에 도움이 많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겨울철 안전상식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도로 위를 위협하는 블랙아이스 주의하기

검은색 얼음이란 뜻의 ' 블랙 아이스' 란 낮동안 내린 눈이나 비가 아스팔트 도로의 틈새에

스며들었다가 밤사이에 도로의 기름, 먼지 등과 섞여 도로 위에 얇게 얼어붙은 것을 말합니다.

 

' 도로결빙 현상'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얼음이 워낙 얇고 투명하여 도로의 검은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비쳐 보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도로가 매우 미끄러운 데다 일반적인 아스팔트 도로와 구분이 되지 않아 육안으로 봐서는

식별하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주로 겨울철 아침 시간대에 터널 출입구나 다리 위 도로에서 자주

발견되는 블랙아이스는 눈·비가 내리지 않더라도 다리 위나 호숫가 주변 도로 또는 그늘이

져있는 커브길과 같이 기온의 차이가 큰 곳에서 쉽게 생기기 쉽습니다.

블랙아이스로 인한 사고를 미리예방하기 위해서는 늘 조심운전하는 습관을 평소에 가져야

합니다. 특히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 등 급격한 기어 변속은 되도록 자제해 주세요.  차가

평소보다 쉽게 미끄러져 블랙아이스를 만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블랙아이스가 많이 생기는  터널 앞 산모퉁이그늘진 커브길에서는 진입 전 미리 속도를 줄이고 앞차와의

간격도 멀리 떨어져 운행하여 미연에 사고를 줄여주세요.

 

 

만약 블랙아이스로 인해 차량이 미끄러졌다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틀어줘야 합니다.

만약 반대 방향으로 틀 경우 중심을 잃어 더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당화 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처해 주세요.

 

블랙아이스

② 타이어 공기압 적정 유지하기

겨울철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고등은 다름 아닌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철에는 다른 계절보다 더 꼼꼼하게 타이어 공기압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기온이 낮은

겨울 온도가 떨어지면 타이어 압력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보통 온도가 10℃ 떨어질 때마다 타이어

공기압 역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로 인하여 타이어의 공기가 수축하면서 공기 누출량이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과도하게 낮아질 경우 주행 중 타이어가 가열되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유지하기

③ 타이어 스노 체인 장착하고 운행하기

눈길 안전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 타이오보다는 홈이 깊게 빠져 있는 스노타이어로

교체하여 안전 운전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타이어는 가격이 높은 편이라 교체를

망설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 새 타이어 대신 일반타이어에 체인을 장착해 제동력을

높여주는 것이 스노 체인입니다.

 

장착 방법은 차량의 구동방식에 따라 달라지는데 앞바퀴가 힘을 받아야 하는 전륜자동차일

경우에는 앞바퀴에 장착하고 뒷바퀴가 힘을 받아야 하는 후륜자동차의 경우 뒷바퀴에 장착해

주어야 합니다. 12월에 출시된 대형 SUV펠리세이드에는 국산차 최초 험로 주행모드 적용되어

출시되었습니다. 

험로주행 모드는 눈, 모래, 진흙모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눈 모드를 사용할 경우 회전수를

천천히 올리고 네 바퀴의 접지력을 최대한 활용. 노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모든 시스템을

가동합니다. 빙판길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차입니다.

타이어스노우 체인장착

④ 냉각수 상태 확인하기

엔진의 열을 떨어트려주는 역할을 하는 냉각수. 하지만 추운 겨울철에는 냉각수까지

얼어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냉각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꼼꼼히 점검하고 관리를

해야 합니다.

 

우선 엔진룸을 열고 냉각수의 양을 확인. 냉각수가 기본선까지 있다면 냉각수의 동결을 막아주는

부동액과 물을 혼합하여 최대치까지 부어줍니다. 일반적으로 혼합비율은 5:5가 제일 적당한데

이때 물은 수돗물이나 증류수를 사용해야 자동차 부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만약 짠물이나 지하수, 생수는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으니 혼합하기

전에 확인하시고 냉각수가 변색이 되었거나 오염되었다면 서비스센터에서 꼭 점검받으시기 바랍니다.

냉각수

728x90

댓글